생활 통계 상식 썸네일형 리스트형 생활 통계 상식: 반수 치사량(LD 50)의 이해 반수 치사량(Lethal Dose 50)이란? 어떤 물질의 독성이 모집단의 50%를 죽일 수 있는 양이다. 쉽게 말해 어떤 물질을 투여했을 시 둘 중 하나가 죽을 양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체중이 60kg인 사람이 5.4L의 물을 마시면 그 중 반은 죽는다. 그렇다고 해서 5L를 마신다고 안죽거나 6L를 마신다고 해서 죽는다는 보장은 없다. 개체 차이가 있기 때문. 약과 독은 용량의 차이이다 치사량이란 말에 왠지 모르는 살벌함을 느낀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약과 독은 한 끝 차이이다. 아래 표를 보자. 어떤 약에 대한 복용량이 x축, 그 약에 대한 효과가 y축에 있다. 그렇다면 최소한의 효과를 보기 위해 투여해야 할 용량은 그림의 '최소한계치'라 써져있는 10g대 근처이다. 반수 치사량은 대략 .. 더보기 생활 통계 상식: 절대적 수치와 상대적 수치 그리고 퍼센트와 퍼센트포인트 절대적과 상대적의 사전적 의미 절대적: 비교할만하거나 상대할 만한 것이 없는 것. 상대적: 서로 맞서거나 비교되는 관계에 있는 것. 이게 왜?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통계에서 간과하는 부분이기도 하고 실생활에 요긴하게 쓸 수 있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보통 저 두 가지의 사전적 의미를 얘기했을 때 다들 쉽게 고개를 끄덕이며 아주 잘 이해한다. 하지만 이게 통계적인 수치로 넘어오면 헷갈려하며 함정에 빠지는 경우가 부지기수이다. 이유는 아주 간단한데 통계는 수치로써 나타내기 때문에 객관적인 상태의 자료라는 생각과 자료를 제공한 사람의 의도가 종종 포함되기 때문이다. 간단한 예시를 들어보자. 물이 반 컵밖에 없네? 물이 반 컵씩이나 있네? 앞의 문장은 부정, 뒤의 문장은 긍정이라고 보인다. 똑같은 반 컵인데도 .. 더보기 이전 1 다음